치지직 총정리 : 아프리카TV, 트위치와 뭐가 달라?

치지직 비교 리포트 : 아프리카TV, 트위치와 뭐가 달라?

(사진출처: Design+)

네이버가 2023년 말 정식 출시한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CHZZK)’이 국내 게임 방송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트위치의 한국 철수 이후 공백을 노려 등장한 치지직은 아프리카TV와의 경쟁 속에서도 독자적인 기능과 네이버 플랫폼 생태계를 활용해 성장 중입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치지직의 특징부터 기능, 수익 모델, 경쟁사 비교, 향후 계획까지 A to Z로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치지직이란?

치지직은 네이버가 만든 게임 특화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2023년 12월 29일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후 2024년 5월 9일 정식 오픈했습니다. 출시 직후부터 트위치의 빈자리를 채우는 국내 대표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로 주목받았으며, 정식 오픈 당일 일간 이용자 수(DAU) 67만 명을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능과 장점

한경

1080p 고화질 스트리밍

웹 표준 기반 스트리밍(HLS, DASH)으로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고화질 방송 시청이 가능합니다.

미션 후원 시스템

시청자가 제시한 조건을 스트리머가 달성하면 후원이 진행되는 방식입니다.

치지직 클립

생방송 장면을 쉽게 편집해 공유하고, 후원 콘텐츠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연동

네이버 카페, 스마트스토어와 연계돼 스트리머의 팬 관리 및 굿즈 판매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수익 구조: 치지직과 스트리머는 어떻게 돈을 벌까요?

후원(치즈)

시청자가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충전한 ‘치즈’를 스트리머에게 후원할 수 있습니다.

광고 수익

스트리머가 중간광고를 삽입하면 수익을 분배받습니다. 광고 제거 상품인 ‘치트키’도 스트리머와 나누게 됩니다.

구독 멤버십

스트리머별 유료 구독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구독자에게 전용 이모티콘 및 혜택을 제공합니다.

굿즈 판매 연동

스트리머가 제작한 굿즈를 스마트스토어와 연동해 판매할 수 있습니다.

경쟁사와의 비교: 트위치, 아프리카TV vs 치지직

▲ 치지직, 트위치, 아프리카TV 로고
미디어오늘
플랫폼화질후원 시스템광고 모델생태계 연동
치지직1080p치즈중간 광고 + 치트키네이버 기반
트위치720p비트터보 (광고 제거)없음
아프리카TV1080p 이상별풍선퀵뷰 (스트리머 분배 없음)제한적

치지직은 특히 초보 스트리머에게 친숙한 인터페이스와 네이버 생태계 연동이 강점으로 작용하며, 고화질 제공과 간편한 결제 시스템이 이용자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용자 반응과 성장세

치지직은 정식 오픈 이후 일간 사용자 60~70만 명대를 기록 중이며, 주말에는 70만 명을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후원 기능의 접근성이 높고, 트위치에서 활동하던 일부 유명 스트리머들이 이적하면서 빠르게 팬덤 기반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콘텐츠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일부 의견과, 특정 대형 스트리머 팬덤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은 해결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향후 계획: 치지직의 미래 전략

  • 스마트스토어 연동 강화: 스트리머가 방송 중 실시간으로 상품을 노출하고, 스마트스토어와 연결된 판매 기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 구독 상품 업그레이드: 구독 티어에 따라 배지 표시, 후원 인식 등 팬덤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 콘텐츠 제작 지원금 확대: 연간 최대 1.2억 원까지 제작 지원을 확대하고, 프로 스트리머까지 대상 범위를 넓힐 예정입니다.
  • 버추얼 스트리머 전용 공간: ‘모션 스테이지’라는 전용 스튜디오를 구축해 버튜버 콘텐츠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 게임 리그 대회 확대: 치지직 자체 리그를 정례화해, 게임 중심 콘텐츠 플랫폼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할 계획입니다.

치지직은 단순한 게임 방송 플랫폼을 넘어, 네이버 생태계와 결합한 ‘크리에이터 중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기능 확장과 스트리머 지원 정책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향후 트위치의 빈자리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목차